티스토리 뷰

생활관련 TIP

기제사 상차림 확인하세요

한국매일증권TV 2018. 3. 5. 02:37


매년마다 5번이상 제사를 지내면서도 항상 상차릴때마다 동쪽 서쪽 구분해가면서 차리는게 헷갈릴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기제사 상차림 에 대해서 정리를 해봤습니다.

그리고 기제사라는 뜻은 돌아가신분 한분을 대상만 하는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명절때 제사하고는 조금 성격이 다릅니다. 명절때는 돌아가신 조상님 모든분들을 대상으로 하는것입니다. 다만 공통적인 부분은 상차릴때 음식 놓는자리는 크게 차이가 없습니다.



기제사 상차림 은 총 5열이 있습니다. 


1열은 식사류가 올라갑니다. 설에는 떡국이 올라가고 추석에는 송편이 올라갑니다. 그외에는 보통 쌀밥이 올라갑니다. 그리고 신위는 1열에 올려줍니다.


2열은 고기반찬이 올라갑니다. 육적 , 어적 , 소적 을 올리시면 되는대요. 갈비류나 고기다진 음식이 올라랍니다. 보통 전을 올려주시면 됩니다.

3열은 탕류가 올라갑니다. 육탕 , 어탕 하고 간 을 할수있는 간장을 올려주시면 됩니다. 저희집은 토란탕을 올렸습니다. 그리고 양쪽에 촛대를 올려주시구요.


4열은 나물 과 마른반찬을 올려주세요. 


5열은 식후에 먹을수 있는 음식이 올라갑니다. 대추 , 밤 , 배 , 감 , 사과 , 과자 를 올리시면 됩니다.

다음으로 음식을 올릴때 몇가지 주의 사항이 있습니다. 



마늘 , 고춧가루 , 복수아는 절대로 올리시면 안됩니다. 전통적으로 귀신을 쫓는 음식입니다. 조상님이 오셨다가 놀래서 돌아가십니다. 기제사 상차림 시 대추는 서쪽에 놓으셔야 합니다. 

사진에 보이는 방향이 서쪽입니다. 또한 전체음식의 숫자를 홀수로 끝나게 올려야 합니다. 또한 각각의 음식또 홀수로 맞춰 주시는게 좋습니다. 우리나라 같은 경우 홀수로 끝나는 숫자가 좋은숫자 입니다. 그리고 생선은 비늘이 있는걸 올려주시면 됩니다.

댓글